728x90
해석하기에 따라 애매하게 해석될 수 있는 회색 영역의 유료 확률형 콘텐츠 판단 예시를 간단히 정리해 안내드립니다.
유료 확률형 콘텐츠를 판단하는 가이드가 존재하나, 가이드 하나만으로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이에 실제 예시를 들어 간단히 내용을 정리해 봤습니다.
1. 유상아이템 판매로 얻는 게임머니의 경우
유상재화 아님 : 게임에서 사용하는 아이템을 NPC에게 팔아 게임머니를 얻는 경우.
유상재화 맞음 : 단순히 게임머니로 바꾸기 위해 구매한 유상아이템을 NPC에게 팔아 게임머니를 얻는 경우.
'골드' 유상 구매를 제공하지 않지만, 판매하여 골드를 획득하는 '보물상자' (즉, 목적 자체가 골드를 얻기 위함)를 유상으로 판매할 경우 '골드'는 유상 재화로 해석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던전 입장권과 확률형 아이템
확률표기 대상 아님 : 무료입장이 가능한 던전에서 추가 입장권(시간 단축권 포함)을 구매한 경우.
확률표기 대상 맞음 : 입장권을 꼭 사야만 들어갈 수 있는 던전에서 얻은 확률형 아이템.
단, '아님' 케이스에서 던전 유료 입장 시 확률적 요소의 추가 혜택을 제공한다면, 확률표기 대상입니다.
3. 던전에서 얻은 아이템의 유상 여부
무상 아이템 : 무료 입장이 가능한 던전에 추가 입장권을 사서 들어가 얻은 아이템.
유상 아이템 : 입장권을 꼭 사야만 들어갈 수 있는 던전에서 얻은 아이템.
단, 무료입장이더라도 추가 입장에서만 나오는 특별한 아이템은 유상아이템.
4. 드롭 확률을 올려주는 버프형 아이템
확률표기 대상 아님 : 버프나 구매 혜택을 통해 확정적으로 드롭 확률을 올려주는 구조일 경우 확률표기 대상 아님
확률표기 대상 맞음 : 아이템에 따라 드롭 확률 혜택이 다르게 적용되거나 확률적 요소가 더해질 경우 확률표기 대상
사업자 입장에서 긴가민가 하면 그냥 확률정보를 제공하시는 게 좋습니다. 100%면 100%라고 표기해야 추후 분쟁 발생 시 방어논리 마련이 가능할 것입니다.
게임 확률 정보 표기 누락하면 어떻게 될까?
꼭 해야하는 게임 확률형 콘텐츠 정보 공개를 하지 않으면 어떻게될까요? 어떤 절차로 검토하고 처벌받는지 요약해 안내드립니다.게임 이용자의 신고 또는 모니터링을 통해 가이드에 따른 확률
gamesentry.tistory.com
728x90
'정책 > 게임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요 오픈마켓 확률형 콘텐츠 (가챠, 루트박스) 정책 (0) | 2025.02.05 |
---|---|
청소년에게 확률형 콘텐츠(가챠 루트박스) 제공을 금지하는 국가 (0) | 2025.02.05 |
일본 콤프 가챠 해석 (0) | 2025.02.04 |
일본 유료 가챠 정책 요약 (0) | 2025.02.04 |
게임 확률 정보 표기 누락하면 어떻게 될까? (0)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