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5 3

주요 오픈마켓 확률형 콘텐츠 (가챠, 루트박스) 정책

구글PLAY, 애플 앱스토어, 스팀 등 대형 플랫폼별 가챠 루트박스 제공 정책을 간단하게 정리했습니다. 플랫폼 정책은 시기에 따라 변화하므로, 정확한 정보는 재검토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오픈마켓 플랫폼 확률형 콘텐츠 정책 청소년 보호 정책확률형 콘텐츠 관련 규정기타 참고사항스팀 (Steam)가족 공유 및 계정 관리 기능 제공. 부모가 자녀 계정에 대해 특정 게임 제한 가능.확률형 아이템의 확률 공개 의무는 없음. 일부 국가(예: 독일)에서 지역 법규에 따라 연령 제한 및 콘텐츠 제한 적용.독일 등 일부 국가에서는 모든 게임에 연령 등급(USK) 필수. 미성년자 계정 설정 시 구매 제한 가능.구글 플레이 (Google Play)가족 그룹 및 Family Link를 통해 부모가 자녀의 앱 설치, 사용 시간..

청소년에게 확률형 콘텐츠(가챠 루트박스) 제공을 금지하는 국가

글로벌 기준 청소년 대상으로 가챠나 루트박스 제공을 금지하는 국가도 존재합니다. 이에 대한 정보를 요약해 봤습니다.글로벌 기준: 청소년에게 확률형 콘텐츠 제공을 금지하는 국가 도입시기적용 나이 (만)상세정보기타 참고사항벨기에2018년18세 미만확률형 콘텐츠(루트박스)를 도박으로 간주하여 전면 금지. 실제 돈이나 가상 화폐를 통해 구매 가능한 루트박스는 모두 불법으로 규정.법 집행이 어려워 일부 게임에서 규제를 우회하거나 제한적으로 운영.네덜란드2020년18세 미만확률형 콘텐츠가 도박법에 따라 규제되며, 특히 아이템 거래가 가능한 경우 불법으로 간주. 일부 루트박스는 금지되었으나, 법적 해석에 따라 일부 허용.FIFA 시리즈와 같은 게임의 루트박스가 불법 판결을 받은 사례 있음.중국2019년8세 미만루트박..

이게 맞나? 확률표기 대상 여부, 간단하게 정리해드립니다!

해석하기에 따라 애매하게 해석될 수 있는 회색 영역의 유료 확률형 콘텐츠 판단 예시를 간단히 정리해 안내드립니다.  유료 확률형 콘텐츠를 판단하는 가이드가 존재하나, 가이드 하나만으로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이에 실제 예시를 들어 간단히 내용을 정리해 봤습니다. 1. 유상아이템 판매로 얻는 게임머니의 경우유상재화 아님 : 게임에서 사용하는 아이템을 NPC에게 팔아 게임머니를 얻는 경우. 유상재화 맞음 : 단순히 게임머니로 바꾸기 위해 구매한 유상아이템을 NPC에게 팔아 게임머니를 얻는 경우.'골드' 유상 구매를 제공하지 않지만, 판매하여 골드를 획득하는 '보물상자' (즉, 목적 자체가 골드를 얻기 위함)를 유상으로 판매할 경우 '골드'는 유상 재화로 해석될 가능성이 높습니다.2. 던전 입장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