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5 5

흙포랄리스 빌드 메커니즘 빌드 정보

흙포랄리스 빌드는 1.xx 초 수준의 점멸 쿨로 빠른 맵핑 속도를 자랑하는 빌드입니다. 이 빌드는 템포랄리스 없이도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며, 다양한 직업군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는 흙포랄리스 빌드의 메커니즘과 세부 정보를 정리한 내용입니다.흙포랄리스 빌드 메커니즘핵심 장비짓발가락 신발 : 과잉살상 피해 옵션(최소 35%) 권장신성한 불꽃 셉터 : 정신력 +120 옵션 필수아르듀라의 문양 방울 방패 :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 옵션 필수앗지리의 멸시 황금관 : 생명력 비례 에너지 보호막 확보 짓발가락 신발 : 과잉살상 피해 버그?가 본 빌드의 중심아르듀라의 문양 : 재사용 대기 회복속도 50으로 챙기세요 신성한 불꽃 : 정신력 및 매핑에 도움점멸 스킬+3 분광기 : 없다고 빌드가..

게임/POE2 2025.02.05

바알 오브를 바르면? 타락의 징조 효과?? 같이 알아보자

'바알 오브'는 Path of Exile 2에서 아이템을 타락시켜 결과 값을 얻는 고위험·고보상 커런시 입니다. 바알 오브와 짝인  '타락의 징조' 효과를 이번 글에서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글은 아래 레딧글을 근거로 합니다.: https://www.reddit.com/r/PathOfExile2/comments/1hicbkx/vaal_orbs_omen_of_corruption_and_uniques/바알 오브 효과바알 오브를 사용했을 때, 아이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네 가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음 아이템은 단순히 '타락(Corrupted)' 상태가 되며, 이후 추가적인 수정을 할 수 없습니다.2. 소켓 추가 장비에 추가 소켓이 부여됩니다. (일부 무기, 반지, 벨트..

게임/POE2 2025.02.05

주요 오픈마켓 확률형 콘텐츠 (가챠, 루트박스) 정책

구글PLAY, 애플 앱스토어, 스팀 등 대형 플랫폼별 가챠 루트박스 제공 정책을 간단하게 정리했습니다. 플랫폼 정책은 시기에 따라 변화하므로, 정확한 정보는 재검토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오픈마켓 플랫폼 확률형 콘텐츠 정책 청소년 보호 정책확률형 콘텐츠 관련 규정기타 참고사항스팀 (Steam)가족 공유 및 계정 관리 기능 제공. 부모가 자녀 계정에 대해 특정 게임 제한 가능.확률형 아이템의 확률 공개 의무는 없음. 일부 국가(예: 독일)에서 지역 법규에 따라 연령 제한 및 콘텐츠 제한 적용.독일 등 일부 국가에서는 모든 게임에 연령 등급(USK) 필수. 미성년자 계정 설정 시 구매 제한 가능.구글 플레이 (Google Play)가족 그룹 및 Family Link를 통해 부모가 자녀의 앱 설치, 사용 시간..

청소년에게 확률형 콘텐츠(가챠 루트박스) 제공을 금지하는 국가

글로벌 기준 청소년 대상으로 가챠나 루트박스 제공을 금지하는 국가도 존재합니다. 이에 대한 정보를 요약해 봤습니다.글로벌 기준: 청소년에게 확률형 콘텐츠 제공을 금지하는 국가 도입시기적용 나이 (만)상세정보기타 참고사항벨기에2018년18세 미만확률형 콘텐츠(루트박스)를 도박으로 간주하여 전면 금지. 실제 돈이나 가상 화폐를 통해 구매 가능한 루트박스는 모두 불법으로 규정.법 집행이 어려워 일부 게임에서 규제를 우회하거나 제한적으로 운영.네덜란드2020년18세 미만확률형 콘텐츠가 도박법에 따라 규제되며, 특히 아이템 거래가 가능한 경우 불법으로 간주. 일부 루트박스는 금지되었으나, 법적 해석에 따라 일부 허용.FIFA 시리즈와 같은 게임의 루트박스가 불법 판결을 받은 사례 있음.중국2019년8세 미만루트박..

이게 맞나? 확률표기 대상 여부, 간단하게 정리해드립니다!

해석하기에 따라 애매하게 해석될 수 있는 회색 영역의 유료 확률형 콘텐츠 판단 예시를 간단히 정리해 안내드립니다.  유료 확률형 콘텐츠를 판단하는 가이드가 존재하나, 가이드 하나만으로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이에 실제 예시를 들어 간단히 내용을 정리해 봤습니다. 1. 유상아이템 판매로 얻는 게임머니의 경우유상재화 아님 : 게임에서 사용하는 아이템을 NPC에게 팔아 게임머니를 얻는 경우. 유상재화 맞음 : 단순히 게임머니로 바꾸기 위해 구매한 유상아이템을 NPC에게 팔아 게임머니를 얻는 경우.'골드' 유상 구매를 제공하지 않지만, 판매하여 골드를 획득하는 '보물상자' (즉, 목적 자체가 골드를 얻기 위함)를 유상으로 판매할 경우 '골드'는 유상 재화로 해석될 가능성이 높습니다.2. 던전 입장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