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구글PLAY, 애플 앱스토어, 스팀 등 대형 플랫폼별 가챠 루트박스 제공 정책을 간단하게 정리했습니다. 플랫폼 정책은 시기에 따라 변화하므로, 정확한 정보는 재검토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오픈마켓 플랫폼 확률형 콘텐츠 정책
청소년 보호 정책 | 확률형 콘텐츠 관련 규정 | 기타 참고사항 | |
스팀 (Steam) | 가족 공유 및 계정 관리 기능 제공. 부모가 자녀 계정에 대해 특정 게임 제한 가능. | 확률형 아이템의 확률 공개 의무는 없음. 일부 국가(예: 독일)에서 지역 법규에 따라 연령 제한 및 콘텐츠 제한 적용. | 독일 등 일부 국가에서는 모든 게임에 연령 등급(USK) 필수. 미성년자 계정 설정 시 구매 제한 가능. |
구글 플레이 (Google Play) | 가족 그룹 및 Family Link를 통해 부모가 자녀의 앱 설치, 사용 시간, 구매를 관리 가능. | 2019년부터 확률형 아이템(루트박스)의 확률 공개 의무화. | 아동 대상 앱은 광고와 데이터 수집 제한을 준수해야 하며, COPPA(아동 온라인 개인정보 보호법) 기준 준수 필요. |
애플 앱스토어 (Apple App Store) | "스크린 타임"과 "콘텐츠 및 개인정보 보호 제한"을 통해 부모가 자녀의 앱 다운로드, 구매, 콘텐츠 접근을 제어 가능. | 2017년부터 확률형 아이템의 확률 공개 의무화. | 아동 카테고리 앱은 부모 동의를 요구하는 "Parental Gate" 필수 적용. |
원스토어 (ONE Store) | 한국 게임산업법에 따라 연령 등급과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정보 공개 의무화 준수 필요. 부모가 자녀 계정에서 구매 제한 가능. | 한국 법규에 따라 확률형 아이템의 확률 공개 의무화 준수 필요. | 국내 개발자들에게 낮은 수수료 제공으로 차별화하며, 청소년 보호를 위한 추가적인 연령 인증 시스템 제공 검토 중. |
에픽게임즈 스토어 (Epic Games Store) | "Cabined Accounts"를 통해 13세 미만 또는 디지털 동의 연령 이하 사용자에게 부모 동의 필수. 구매, 음성 채팅 등 일부 기능 제한. | 특정 콘텐츠는 부모 동의 없이 미성년자 접근 불가 설정 가능. 확률형 아이템 관련 명시적 규정은 없으나 소비자 보호 정책 강화. | "Cabined Accounts"는 기본적으로 구매와 소셜 기능 비활성화 상태로 시작하며, 부모가 설정 변경 가능.
|
- 닌텐도 eshop은 확률형 아이템 관련 별도의 규정 없음. 일부 국가에서 지역 규정에 따라 확률 공개 필요합니다.
- 대부분 대형 플랫폼은 청소년 보호정책 그리고 연령등급 정책을 통해 가챠 이용이나 결제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 더 자세한 정보는 각 플랫폼 개발자 정책을 참조해야 합니다.
애플 : https://developer.apple.com/app-store/review/guidelines/#in-app-purchase
청소년에게 확률형 콘텐츠(가챠 루트박스) 제공을 금지하는 국가
728x90
'정책 > 게임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에게 확률형 콘텐츠(가챠 루트박스) 제공을 금지하는 국가 (0) | 2025.02.05 |
---|---|
이게 맞나? 확률표기 대상 여부, 간단하게 정리해드립니다! (0) | 2025.02.05 |
일본 콤프 가챠 해석 (0) | 2025.02.04 |
일본 유료 가챠 정책 요약 (0) | 2025.02.04 |
게임 확률 정보 표기 누락하면 어떻게 될까? (0) | 2025.02.04 |